올여름은 예년과 다르게 여름철에도 인플루엔자(독감) 등 호흡기감염병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마스크 착용, 손씻기, 기침예절 준수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관리를 위한 개인위생수칙을 지키는 노력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 같습니다.

독감 의심환자 발생 현황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접어들면 독감환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요. 올해는 봄철 증가세가 감소한 6월 말 이후에도 유행이 꺾이지 않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전국의 의원급 인플루엔자 표본감시기관(196개) 감시 결과, 올해 28주차(7.9∼7.15)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발생이 외래환자 1천 명당 16.9명으로, 최근 3주 연속 증가하였습니다.
- 25주(6.18∼6.24) 15.0명 → 26주(6.25∼7.1) 16.1명 → 27주(7.2∼7.8) 16.3명 → 28주(7.9∼7.15) 16.9명

연령대별 독감 발생 현황
연령대별로 인플루엔자 발생은 소아를 포함한 학생 연령층에서 주로 발생하였는데, 초등학생 연령층인 7~12세(43.0명)에서 가장 높았고, 13~18세(25.2명), 1~6세(18.5명) 순으로 발생이 높았습니다.
- 7~12세(43.0명) > 13~18세(25.2명) > 1~6세(18.5명) > 19~49세(14.8명) > 0세(9.3명) > 50~64세(7.7명) > 65세 이상(4.8명)

원인병원체별 독감 발생 현황
인플루엔자 원인병원체 감시결과에서는 28주차(7.9.∼7.15.)에 일반 감기의 원인이 되는 리노바이러스(18.6%), 아데노바이러스(15.9%) 검출이 높았으며, 코로나19(12.3%)가 다음으로 높았습니다.
- 28주 병원체 검출률 : 리노바이러스 (18.6%) > 아데노바이러스 (15.9%) > 코로나19 (12.3%) >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11.1%) > 사람메타뉴모바이러스 (10.5%) > 인플루엔자 (6.3%) 순
- 리노바이러스 : 기침, 콧물, 코막힘 등 가벼운 감기증상을 나타내며 상대적으로 발열 증상이 적은 편으로 연중 발생
- 아데노 바이러스 : 발열, 기침, 콧물 등 다양한 임상증상을 일으키며 연중 발생
구분 | 급성호흡기바이러스 | ||||||||
리노 바이러스 |
아데노 바이러스 |
코로나19 | 파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사람 메타뉴모 바이러스 |
인플루엔자 | 보카 바이러스 |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 |
|
HRV | HAdV | SARS- CoV2 |
HPIV | HMPV | IFV | HBoV | HRSV | HCoV | |
25주 | 16.1 | 9.1 | 10.6 | 7.1 | 15.4 | 5.5 | 4.3 | 3.1 | 2.4 |
26주 | 14.1 | 12.7 | 12.4 | 8.1 | 14.1 | 5.7 | 7.1 | 4.6 | 2.5 |
27주 | 15.3 | 19.5 | 13.4 | 12.1 | 16.0 | 5.2 | 7.2 | 2.6 | 2.3 |
28주 | 18.6 | 15.9 | 12.3 | 11.1 | 10.5 | 6.3 | 3.3 | 0.9 | 0.6 |
2023* | 14.0 | 9.7 | 8.0 | 9.0 | 6.5 | 9.4 | 5.2 | 8.3 | 6.1 |
2022** | 16.3 | 4.2 | 9.4 | 5.5 | 9.3 | 5.5 | 6.6 | 11.4 | 4.6 |
* 2023년 누계: '23. 1주~28주 (1. 1. ~ 7. 15.), ** 2022년 누계: '22. 1주~53주 ('21. 12. 26. ~ '22. 12. 31.)
코로나19 병원체 발생 현황
코로나19 병원체의 연령별 발생 비율은 19~49세(29.3%), 65세 이상(26.8%), 50~64세(17.1%) 순으로 높았습니다.
- 코로나19 병원체 연령별 발생 비율(28주): 19~49세(29.3%), 65세 이상(26.8%), 50~4세(17.1%), 0~6세(12.2%), 7~12세(7.3%), 13~18세(7.3%) 순
참고로 코로나19에 대한 전수감시결과에서도 표본감시기관을 통한 병원체 조사 결과와 연령대별 발생비율이 유사한 상황을 보이면서, 28주에는 전주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이 증가하였습니다.
- 코로나19 전수감시결과 확진자 연령별 발생 비율(28주): 19~49세(42.6%), 50~64세(19.1%), 65세 이상(18.5%), 13~18세(11.9%), 7~12세(5.4%), 0~6세(2.4%) 순
호흡기감염병 예방법
올여름은 최근 5년 같은 기간에 비해 인플루엔자 발생이 이례적으로 높은 상황으로, 봄철 이후 유행이 장기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밀폐·밀집한 장소나 인구이동으로 사람 간 접촉이 늘어나는 하계휴가지 등에서는 인플루엔자, 코로나19 등 호흡기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외출 전·후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기침 예절, 호흡기 증상 발생 시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수칙의 실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중요하다
특히, 다중이용시설, 대중교통 등 이용 시(고위험군), 요양원, 요양시설 및 의료기관 등 감염취약시설 방문 시, 호흡기감염병으로 진단된 경우라면 본인과 가족, 이웃의 건강을 위해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반 예방·관리수칙
-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 마스크 착용 등 기침예절 준수(특히,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호흡기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집단시설에서의 예방·관리수칙
- 업무종사자 손씻기 생활화
- 업무종사자 마스크 착용 등 기침예절 준수
- 업무종사자가 호흡기증상이 있는 경우 입소자 상대 업무 제한
- 호흡기증상이 있는 입소자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제한 및 진료받기
- 호흡기증상이 있는 방문객 출입 자제

지금까지 여름철 인플루엔자(독감) 예방법 등 관련 소식 전해드렸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본 포스팅은 질병관리청 보도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여름철 이례적으로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개인위생수칙 준수 권고, 2023. 7. 25.)
'생활·행정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안증상과 원인, 노안교정수술 및 안경 등 치료 방법 (0) | 2023.07.27 |
---|---|
기대수명, 비만, 노인장기요양 등 「OECD 보건통계 2023」 분석 결과 (0) | 2023.07.26 |
고양이 고병원성 조류독감 확진 - 생활 속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 예방 안내 (0) | 2023.07.26 |
말라리아, 뎅기열, 콜레라 등 해외여행 시 주의해야 할 감염병 예방법 (0) | 2023.07.25 |
여름 장마철 식중독 예방법 - 익히고, 끓이고, 세척·소독·손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 (0) | 2023.07.20 |
신규 지정 마약 및 향정신성의약품 종류 - 마약류관리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0) | 2023.07.19 |
처방전이 필요한 수산 동물의약품 - 마취제, 호르몬제, 항생·항균제, 생물학적 제제, 구충제 (0) | 2023.07.18 |
단순 두통, 어지럼증에 대한 뇌·뇌혈관 MRI 검사 - 2023년 10월부터 건강보험 미적용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