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컴퓨터/정보일반 8

2024년 디지털새싹 캠프 무료 운영 - 3월부터 전국 21만여 명 학생 참여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 및 한국장학재단과 함께 2024년도 「디지털새싹」 캠프를 3월 11일부터 운영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년 디지털새싹 운영기관, 주요 프로그램, 신청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지털새싹은? 디지털새싹은 전국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을 즐겁게 체험하고 디지털 역량을 함양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디지털새싹 캠프는 2022년 겨울방학부터 시작하였으며, 2023년까지 총 38만여 명이 학생이 참여하는 등 학생과 교사, 학부모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2024년 디지털새싹 운영기관 선정 현황 올해 디지털새싹 운영기관으로 공모를 통해 44개 기관(대학·기업·공공기관)이 선정되었으며, 총 232개 프로그램이 운영될 예정입니..

온라인 코딩파티 (2023 시즌2) 행사기간, 참여대상, 참여방법, 프로그램 알아보기

'2023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2'가 10월 10일(화)부터 11월 20일(화)까지 총 6주간 개최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 온라인 코딩파티 시즌2' 행사기간, 참여대상, 참여방법, 프로그램 구성 등 행사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온라인 코딩파티란? 온라인 코딩파티는 국민들이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의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게임처럼 체험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대국민 체험 행사입니다. 2015년부터 매년 2회씩 새롭고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개최되며, 해마다 참가 인원이 꾸준히 증가하는 등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참가인원(시즌1·2합계) : 126,239명('15년) → 1,101,396명('18년) → 1,414,899명('21년) → 2,407,277명('22년) '2023 온라인..

2023년 여름방학 디지털새싹 캠프 무료 운영 - 전국 48개 기관 776개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2023년도 여름방학 '디지털새싹 캠프'를 통해 7월 31일(월)부터 전국 48개 기관에서 776개 소프트웨어·인공지능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이 무료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올여름방학에도 학생 대상, '디지털새싹 캠프' 무료 운영 - 전국 48개 기관에서 776개 프로그램 운영 예정 - - 7월 24일(월)부터 신청받아, 7월 31일(월)부터 운영 시작 - 디지털새싹 캠프는? 디지털 새(New) 싹(Software·AI Camp) 캠프는 전국의 초·중·고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체험과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는 사업으로, 대학과 기업 등 다양한 디지털 교육 전문가들이 힘을 합쳐 전국 단위로 실시하는 교육캠프입니다. 2023년 여름방학 디지털새싹 캠프 이번 여..

4차 산업혁명 시대 새로운 정보보안 모델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1.0」 발표

새로운 디지털환경에서의 정보보안을 위해 제로트러스트의 개념, 보안원리, 핵심원칙 등을 설명하는 국내 환경에 적합한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1.0」이 마련되어 발표되었습니다. 제로트러스트란? 제로트러스트(Zero Trust)는 정보시스템 등에 대한 접속요구가 있을 때 네트워크가 이미 침해된 것으로 보고, "절대 믿지 말고, 계속 검증하라는 새로운 보안개념(Never Trust, Always Verify)"입니다. 현재의 대부분의 시스템에 적용된 보안모델은 "경계 기반 보안모델"이라고 하여, 보호대상 영역을 내부(신뢰영역)와 외부(비신뢰영역)로 구분해 놓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인증을 거쳐 보호대상 네트워크 영역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이후부터는 그 내부자를 신뢰할 만한 사용자로 보고, 내부의 서버, 데이터..

정보보호 전문 인력 양성기관 신규 선정 - 융합보안대학원 2개교, 정보보호특성화대학교 2개교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마련한 「사이버 10만 인재 양성방안」에 따라 정보보호 정규교육 확대를 위해 융합보안대학원 2곳과 정보보호특성화대학 2곳이 신규 선정되었습니다. 융합보안대학원 '융합보안대학원 핵심인재양성사업'은 디지털 전환에 따라 다양한 ICT 융합 산업 분야로 보안 위협이 확산되고 있어, 증가하는 정보보호 고급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융합보안 분야의 석·박사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올해는 우주·항공, 무인이동체, 메타버스, 스마트선박 등 특화분야와 분야에 제한이 없는 일반분야로 나누어 모집하였으며, 총 7개 대학이 지원하여 경희대와 중앙대 2곳이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분야 선정대학교 특화분야 - 무인이동체 경희대학교 일반분야 - 디지털금융보..

2022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결과(방송통신위원회)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2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결과' 관련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로봇·자율주행·알고리즘 등 지능정보 기술·서비스들이 우리 삶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포털·유튜브 알고리즘 추천 서비스의 장점에 높은 기대, 다만 가치관 편향 및 개인정보 유출 우려 지능정보사회 사생활 노출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예측 메타버스 평균 이용시간은 1시간 4분, 주로 게임과 지인 간 소통을 위해 이용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지능정보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태도·수용성 등을 조사한 '2022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결과를 발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능정보 기술·서비스의 인지 및 환경평가 지능정보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

MZ세대 재직자, 정보처리기사 등 디지털 분야 국가기술자격에 관심 높아

오늘 포스팅에서는 '재직자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 동향'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MZ세대(1980~2005년생) 재직자, 정보처리기사 등 디지털분야 국가기술자격에 관심 높아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2022년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에 응시한 재직자 55만 6천여 명의 응시 현황을 분석해, 재직자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 동향을 발표하였습니다. 동 발표내용에 따르면 최근 5년(2018~2022년)간 재직자의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응시율은 연평균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그중 MZ세대(1980~2005년생) 재직자는 연평균 7.1% 증가해, 2022년에는 전체 재직자 응시인원의 59.6%에 달했습니다.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연평균증가율 재직자 445,934명 442..

2023년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13개교(일반 11개, 특화 2개) 선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선정' 관련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2023년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13개교 선정 일반트랙 11개교(경남대, 경희대, 고려대, 군산대, 동국대, 동아대, 부산대, 순천대, 영남대, 연세대, 한동대) 특화트랙 2개교(신한대, 한라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전환으로 산업계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소프트웨어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의 2023년도 선정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2015년에 시작된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은 산업체 수요기반의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개편, 소프트웨어 전공 정원 확대, 비전공자 대상 소프트웨어 융합교육 등을 통해 소프트웨어 전문·융합인재 양성을 주도해 왔으며, 지난해까지 8년간('15~'22년) 40,419명의 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