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96

근로복지공단 생활안정자금 대출 - 융자종류 및 한도, 신청대상·방법 등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소득 근로자 등에게 결혼자금, 의료비, 자녀 양육비 등 생활필수자금을 낮은 금리로 융자해 주는 '근로자 생활안정자금 융자사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업내용 '근로자 생활안정자금 융자사업'은 저소득 근로자,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및 산재보험에 임의가입한 1인 사업주에게 의료비, 결혼자금 등 생활필수자금을 장기·저리로 지원해 줌으로써 근로자의 가계부담을 줄여 생활안정을 지원해 주는 사업입니다. 지원내용 신청대상 신청일 현재 소속사업장에 3개월 이상 근로 또는 노무를 제공 중이고, 월평균소득이 3인가구 중위소득의 2/3(2023년 296만 원) 이하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융자조건 연리 1.5%의 1년 거치 3년 또는 4년 원금균등분할상환을 융자조건으로 합니다. 다만 소액생계비는 1..

청년도약계좌 2023년 7월 가입신청 안내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가입 신청이 가능하며, 2023년 7월의 경우 7월 3일(월)부터 7월 14일(금)까지 영업일 중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해당기간 동안은 연령 요건(만 19~34세)을 충족하면, 출생 연도와 관계없이 11개 청년도약계좌 취급은행 앱을 통해 영업일(오전 9시~오후 6시 30분)에 비대면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은행 SC제일은행은 ’ 24년 1분기부터 운영 개시 가입 신청자는 은행 앱에서 연령 요건, 금융소득종합과세자 해당여부 등을 신청 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인소득의 경우 직전 과세기간(2022년 1월~12월)의 총급여가 6,000만 원 이하인 경우 정부기여금을 지급받고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으며, ..

전기요금 복지할인, 근로자 생활안정자금 융자, 종이 서류 없이 공공 마이데이터로 신청

7월 3일(월)부터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앞으로 '전기요금 복지할인'이나 '근로자 생활안정자금 융자' 신청 시 종이 구비서류를 제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란 정보주체인 국민의 요구에 따라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 2021년 2월 시범서비스를 개시한 후, 2023년 6월까지 96개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공공 마이데이터 주요 활용 서비스 서비스명 주요내용 이용방법 시행기관 금융여신 (은행신용대출 등) 신용대출 등 자금을 빌려주는 여신성 업무에 필요한 본인정보를 제공 각 은행 (온/오프라인) → 신용대출 등 서비스 신청 한국신용정보원 (토스뱅크 등 54개 금융기관) 금융수신 예금, 적금, 퇴직연금 등의 수신성 업무..

공사시방서, 설계도서, 착공신고서 - 전기기사 실기 단답 기출 핵심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기사 실기시험 대비 단답형 기출문제 핵심요약정리, 감리업무 수행계획 중 공사시방서, 설계도서 등의 검토, 착공신고서 검토, 설계도서 해석의 우선순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제빈도는 별표(★)로 표시(기출 1회당 별표 1개)하였으며, 기출문제의 답안에 해당하는 내용은 음영 색으로 구분하고, 중요 키워드는 진하게(B) 표기하였습니다. ※ 기출문제 출제빈도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22년까지입니다. ※ 설명 내용에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공사시방서 공사에 쓰이는 재료, 설비, 시공체계, 시공기준 및 시공기술에 대한 기술설명서와 이에 적용되는 행정명세서로서, 설계도면에 대한 설명 또는 설계도면에 기재하기 어려운 기술적인 사항을 표시해 놓은 도서 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

2023년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사업 참여 대학 연합체 선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사업에 참여하는 5개 분야 연합대학 선정 결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사업'은 대학 내 학과(전공) 간, 대학 간의 경계를 허물고 인문사회 기반의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2023년 신규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학제 간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합체(컨소시엄 대학)는 지방대 40% 이상 포함하여 3~5개 대학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학과(전공) 소속의 교원이 함께 참여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인문·사회계열 교원을 '프로젝트 책임자'로 하고, 수혜 학생 중 70% 이상은 인문·사회계열 학생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①디지털, ②환경, ③위험사회, ④인구구조, ⑤글로벌·문화 등 총 5개 분야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