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보 240

2023년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사업 참여 대학 연합체 선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사업에 참여하는 5개 분야 연합대학 선정 결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인문사회 융합인재양성사업'은 대학 내 학과(전공) 간, 대학 간의 경계를 허물고 인문사회 기반의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2023년 신규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학제 간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합체(컨소시엄 대학)는 지방대 40% 이상 포함하여 3~5개 대학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학과(전공) 소속의 교원이 함께 참여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인문·사회계열 교원을 '프로젝트 책임자'로 하고, 수혜 학생 중 70% 이상은 인문·사회계열 학생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①디지털, ②환경, ③위험사회, ④인구구조, ⑤글로벌·문화 등 총 5개 분야로 나..

2학기부터 늘봄학교 8개 지역, 총 300교 내외로 확대

부산·충북·충남교육청이 2학기 늘봄학교 시범교육청으로 선정되면서, 올해 3월부터 5개 지역에서 운영 중인 늘봄학교 시범운영 규모는 2학기부터 8개 지역, 총 300교 내외로 확대됩니다. 이번 시범운영은 양질의 방과 후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데 초점을 두고, 더 많은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1개 프로그램 수강 시 1개를 무료로 제공하는 '방과 후 1+1'을 도입하여, 초1 에듀케어 프로그램 운영 기간을 최대 1년까지 연장합니다. 초1 에듀케어 확대 : 초1 에듀케어 대상을 초1~2학년으로 확대하고, 최대 1년 운영 ※ 부산(에듀케어 프로그램), 충북(꿈담교실), 충남(에듀케어 더하기 교실) 방과 후 1+1 도입 : 방과 후 프로그램 1개 강좌 수강 시 1개 강좌 무료 제공 지역대학 연계·협력 강화 : 지역..

전자책 무료구독 서비스(e-북드림) - 월 구독수 제한 없이 무제한 이용

학생, 교원, 학교 밖 청소년 대상 전자책 무료구독 서비스인 'e-북드림'이 월별 구독 가능 권수를 무제한으로 확대하여 7월 1일(토)부터 서비스를 개시합니다. 올해로 4년 차를 맞이하는 'e-북드림'은 디지털 기기에 친숙한 아이들이 쉽고 편하게 독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민관협력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그동안 학교에서 교과 독서수업 및 독서동아리 등에 활용되는 등 디지털 기반 학교 독서교육의 활성화에 많은 기여를 해왔습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아이들이 비용 걱정 없이 마음껏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월별 구독 가능 권수를 무제한으로 확대하였습니다. 1인당 월별 구독 가능 권수 : (2022년) 5권 → (2023년) 무제한 전자책 무료 구독 서비스는 7월 1일(토)에 개시되어 내년 6월 30일까지 1년간 ..

2023년 직업전환교육기관으로 5개 연합체(전문대학-광역지자체) 선정

2023년 직업전환교육기관(DX-Academy) 지정·운영 시범사업 대상기관으로 '부산광역권 DX-Academy', '광주광역시 빛 누리(LIGHT NUri) DX-Academy', '충청북도 직업전환교육기관', '충청남도 직업전환교육기관', '경상남도 직업전환교육기관' 등 총 5개 연합체가 선정되었습니다. DX(Digital Transformation, 디지털 전환) : 기업·조직이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사업 과정(프로세스), 조직문화, 고객 경험 등을 개선하고 혁신하는 전략적 변화 이번 사업 공모에 12개 '전문대학-광역자치단체' 연합체가 신청하였으며, 서면 및 발표 평가를 거쳐 총 5개 연합체 선정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의신청(6.27.~7.1.)을 거쳐 7월 초 선정결과를 최종 확정 2023..

창업교육 혁신 선도대학(SCOUT) 선정 - 일반대 5개, 전문대 3개 권역 연합체

「창업교육 혁신 선도대학(SCOUT)」 사업 권역별 연합체(컨소시엄)로 일반대는 5개 권역, 전문대는 3개 권역 연합체가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유형 권역 주관대학 참여대학 일반대 수도권 중앙대 고려대, 이화여대, 인하대, 한국공학대 충청권 충남대 고려대 세종, 순천향대, 충북대 호남·제주권 전남대 목포대, 순천대, 원광대, 제주대 대경·강원권 영남대 강릉원주대, 계명대, 안동대, 포항공대 동남권 부경대 경상국립대, 울산대, 창원대 전문대 대경강원권 대경대 강원도립대, 계명문화대, 대구보건대 호남제주권 조선이공대 원광보건대, 제주관광대 동남권 울산과학대 거제대, 경남도립거창대, 경남정보대, 마산대 창업교육 혁신 선도대학은 기존 창업교육 거점대학을 확대하여 지역별 창업교육 기반 구축, 지자체와의 협업 체계 ..

과기정통부, 디지털 기반 자립준비청년 지원방안 마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기반 자립준비청년 지원방안」을 통해 보호대상아동 지원, 자립준비청년 디지털 교육 지원, 디지털 진로 지원, 사회적 연대 강화 등 4대 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게 됩니다. 과기정통부는 정보문화의 달을 맞아 「디지털 기반 자립준비청년 지원방안」을 발표(2023.6.23.) 하였는데요, 제4차 산업혁명, 디지털 대전환 등 대규모 사회·경제 변화에 따라 디지털 자유, 디지털 보편권이 중요해지는 가운데, 보호대상아동과 자립준비청년이 디지털 시대를 열어가는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본 지원방안을 마련하였다고 합니다. 자립준비청년은 아동복지시설, 가정위탁 등의 보호를 받다가 만 18세가 되어 사회로 홀로 나서는 청소년을 말하며, 연간 약 2,000명이 자립을 시작하고 있..

사교육 경감대책 - 수요 원인별 맞춤 정책으로 공교육 내 흡수

교육부는 지난 6월 26일(월),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학교 교육을 황폐화시키는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교육 경감대책」을 발표하였습니다. 2022년 초·중·고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1만 원으로, 2007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렇듯 과도한 사교육을 뿌리 뽑기 위해 교육부는 공정한 수능 평가를 점진적·단계적으로 실현하고, 사교육 수요 원인별 맞춤 대응을 통해 사교육을 경감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사교육 경감대책」에 실린 세부 추진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공교육 과정 중심의 공정한 수능을 점진적‧단계적으로 확실히 실현한다. 공교육 과정에서 성실하게 학습한 학생들이 수능에서 공정하게 평가받을 수 있도록 변별력은 갖추되,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

2022년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결과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성가족부가 전국 초등학교 4~6학년 및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17,1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청소년 매체이용 유해환경 실태조사' 결과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참고로 본 실태조사는 「청소년법」 제33조 제4항에 따라 청소년의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에 대한 청소년 보호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2년마다 실시하는 국가승인통계로, 이번 2022년 실태조사에서는 온라인 공간에서의 폭력 피해 경험을 세분화하여 조사하고 개인정보 피해 경험, 온라인 도박성 게임, 소액대출서비스, 주요 환각성 물질 및 약물 경험 등의 질문을 신규로 추가하여 실시하였다고 합니다. 조사명: 청소년 매체이용 유해환경 실태조사 조사대상: 전국 학생 청소년(초등학교 4~6학년 및 중·고..

2024학년도 대학 수능 6월 모의고사 채점 결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6월 1일(목) 전국적으로 실시된 2024학년도 대학 수능 6월 모의고사 채점 결과를 6월 28일(수)에 통지하였으며,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접수한 곳(재학 중인 학교, 시험 지구 교육청, 출신 학교 등)을 통하여 수험생에게 교부됩니다. 2024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광고 2024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은 381,673명으로 재학생은 306,203명, 졸업생과 검정고시 합격자 등은 75,470명이었습니다. 영역별 응시자 수는 국어 영역 379,396명, 수학 영역 375,782명, 영어 영역 380,960명, 한국사 영역 381,673명, 사회·과학 탐구 영역 373,553명, 직업탐구 영역 5,440명, 제2외국어/한문 영역 6..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 신청 안내 - 2023년부터 만 19세 이상 장애인에 지원

교육부와 국립특수교육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성인 문자해득 및 인문교양 등 평생교육 역량 개발을 돕기 위해 올해부터 장애인 학습자에게 1인당 35만 원의 평생교육 수강 비용을 지원합니다. 이에 따라, 만 19세 이상의 등록 장애인은 6월 28일(수)부터 7월 21일(금)까지 '보조금24 누리집(www.gov.kr)' 또는 '정부24'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하고, 수급자로 선정되면 장애인 평생교육이용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청자가 장애 등으로 신청에 어려움을 겪을 경우, 가족 구성원·보호자·대리인 등이 신청 가능 신청 대상 ▶ 신청 기간 ▶ 신청 방법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된 만 19세 이상 장애인 2023.6.28.(수) 10:00 ~ 2023.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