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통신 65

계측장비, 적산전력계, 잠동현상, 저항측정법 - 전기기사 실기 단답 기출 핵심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기사 실기시험 대비 단답형 기출문제 핵심요약정리, 시험 및 측정 중 계측장비 권장 교정주기, 적산전력계가 구비해야 할 특성, 잠동현상, 저항 측정법, 대지저항 측정법, 콜라우시 브리지법에 의한 접지 저항 측정, 전자식 접지 저항계를 사용한 접지극의 접지 저항 측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제빈도는 별표(★)로 표시(기출 1회당 별표 1개)하였으며, 기출문제의 답안에 해당하는 내용은 음영 색으로 구분하고, 중요 키워드는 진하게(B) 표기하였습니다. ※ 기출문제 출제빈도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22년까지입니다. ※ 설명 내용에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계측장비 권장 교정주기 구분 권장 교정주기(년) 계측장비교정 계전기 시험기 1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1 회로시험기 1 절연..

다중접지 배전방식, 접촉전압, 계통접지, 보호접지, 고장전류 경로 방폭 구조 - 전기기사 실기 단답 기출 핵심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기사 실기시험 대비 단답형 기출문제 핵심요약정리, 안전 및 접지 중 다중접지 배전방식의 장점 및 단점, 지락 사고시 지락 전류 및 접촉 전압, 계통접지와 보호접지의 접지선 연결 및 기능, 1선지락 고장시 접지계통별 고장전류의 경로, 방폭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제빈도는 별표(★)로 표시(기출 1회당 별표 1개)하였으며, 기출문제의 답안에 해당하는 내용은 음영 색으로 구분하고, 중요 키워드는 진하게(B) 표기하였습니다. ※ 기출문제 출제빈도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22년까지입니다. ※ 설명 내용에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중접지 배전방식의 장점 및 단점(각각 4가지) ★장점 1선 지락사고 시 건전상의 대지 전위 상승이 낮다(전로나 기기의 절연레벨 경감) 1선 지락..

통합접지 장단점, 접지저항 저감방법, 화학 저감재 구비조건 - 전기기사 실기 단답 기출 핵심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기사 실기시험 대비 단답형 기출문제 핵심요약정리, 안전 및 접지 중 통합접지 장단점, 접지저항 저감방법, 접지저항 저감법 중 화학 저감재 구비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제빈도는 별표(★)로 표시(기출 1회당 별표 1개)하였으며, 기출문제의 답안에 해당하는 내용은 음영 색으로 구분하고, 중요 키워드는 진하게(B) 표기하였습니다. ※ 기출문제 출제빈도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22년까지입니다. ※ 설명 내용에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통합접지 장단점(각 3가지) 장점 접지극의 연접으로 합성저항의 저감효과 접지극의 연접으로 접지극의 신뢰도 향상 접지극의 수량 감소 계통접지의 단순화 철근, 구조물 등을 연접하면 거대한 접지전극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 단점 계통의 이상전압 발..

54개 시·군에 소재한 411개 읍·면 농어촌, 5세대 이동통신(5G) 상용화 개시

통신 3사(SKT, KT, LG U+)는 6월 20일(화)부터 전국 54개 시·군에 소재한 411개 읍·면 농어촌 지역 이용자에게 5세대 이동통신(5G) 서비스를 개시하였습니다. SKT 등 통신 3사는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2021년 4월)에 따라 농어촌 지역 이용자들이 5세대(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3사 간 공동이용 방식을 통해 5G 망을 구축 중이며, 2024년 상반기까지 단계적으로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3사 간 공동이용 방식: 통신사 간 무선통신시설을 공동으로 이용하여, 자사가 통신망을 구축하지 않은 지역이라도 타사의 통신망을 통해 자사 이용자에게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단계적 상용화: 2021년 11월 시범 상용화, 2022년 7월 1단계 1차 상용화, 2022년 1..

접지, 접지공사, 접지시스템, 접지저항, 보호도체 - 전기기사 실기 단답 기출 핵심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기사 실기시험 대비 단답형 핵심요약정리, 안전 및 접지 중 접지공사의 목적, 변압기 중성점 접지(계통접지) 목적, 접지개소, 접지시스템의 구성 요소, 접지저항을 결정하는 저항 요소, 보호도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제빈도는 별표(★)로 표시(기출 1회당 별표 1개)하였으며, 기출문제의 답안에 해당하는 내용은 음영 색으로 구분하고, 중요 키워드는 진하게(B) 표기하였습니다. ※ 기출문제 출제빈도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22년까지입니다. ※ 설명 내용에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접지공사의 목적(3가지) 감전방지 기기의 손상 방지 보호 계전기의 확실한 동작 ※ 사람 간 접촉(접지)했을 때 감기 걸리지 않도록 보호필요 ★변압기 중성점 접지(계통접지) 목적(3가지) 전로 보..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수도권 3개교, 비수도권 5개교 선정

오늘 포스팅에서는 '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사업'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2023년 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결과 - 수도권 3개교(연합) 및 비수도권 5개교(연합) -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지난 6월 14일(수)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은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2022.7.19.)에 따라 산업계 인력 수요에 대응하여 반도체 (학부)교육 역량과 의지를 갖춘 대학을 집중 육성할 목적으로 올해(2023년) 신설된 사업입니다. 올해에는 수도권 3개교와 비수도권 5개교를 개별 대학이 참여하는 '단독형'과 대학 연합이 참여하는 '동반성장형'으로 나누어 선정되었는데요. 선정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 유형 대학명 (가나다순, 주관..

과전류차단기의 시설 제한, 감전피해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요인, 인체에 전류가 흘러 감전된 정도를 나타내는 전류, 전기화재 발생원인, 전기설비 용량별 점검 횟수 및 간격에 대한 기준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기사 실기시험 대비 단답형 핵심요약정리, 안전 및 접지 중 과전류차단기의 시설 제한, 감전피해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요인, 인체에 전류가 흘러 감전된 정도를 나타내는 전류, 전기화재 발생원인, 전기설비 용량별 점검 횟수 및 간격에 대한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제빈도는 별표(★)로 표시(기출 1회당 별표 1개)하였으며, 기출문제의 답안에 해당하는 내용은 음영 색으로 구분하고, 중요 키워드는 진하게(B) 표기하였습니다. ※ 기출문제 출제빈도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22년까지입니다. ※ 설명 내용에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과전류차단기의 시설 제한 접지공사의 접지도체 다선식 전로의 중성선 전로의 일부에 접지공사를 한 저압 가공전선로의 접지 측 전선 ★감전피해의 위험도..

연축전지, 알칼리축전지, 보통·급속·부동·세류·균등·회복충전 - 전기기사 실기 단답 기출 핵심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기사 실기시험 대비 단답형 핵심요약정리, 예비 전원 설비 중 연축전지 고장 현상 및 추정 원인, 알칼리 축전지의 장단점, 연축전지와 알칼리축전지의 특성 비교, 충전방식(보통충전, 급속충전, 부동충전, 세류충전, 균등충전, 회복충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제빈도는 별표(★)로 표시(기출 1회당 별표 1개)하였으며, 기출문제의 답안에 해당하는 내용은 음영 색으로 구분하고, 중요 키워드는 진하게(B) 표기하였습니다. ※ 기출문제 출제빈도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22년까지입니다. ※ 설명 내용에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연축전지 고장 현상 및 추정 원인 전 셀의 전압 불균일이 크고, 비중이 낮을 때 ← 충전 부족으로 장시간 방치 전 셀의 비중이 높을 때 ← 증류수 부족..

반도체 설계검증 서비스 운영 계획 안내 - 전공 대학생을 위한 내 칩(My Chip) 제작 지원

오늘 포스팅에서는 '반도체 설계 전공 대학생을 위한 내 칩(My Chip) 제작 서비스' 관련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반도체 설계 전공 대학생을 위한 내 칩(My Chip) 제작 서비스 착수 - '23년 시범 서비스로 약 100명 및 '24년부터 연 500명 이상 칩 제작 목표 - 차별화된 반도체 설계 인재양성을 위한 설계검증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반도체 설계 전공 학부생·대학원생은 이 서비스를 통해 올해부터 자신이 설계한 칩(Chip)을 제작하여 검증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데요. 학생들이 설계한 반도체 칩의 제작을 신청하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서울대학교·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 운영하는 반도체 팹(Fab)에서 500nm CMOS(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 기술을 이용한 반도체 칩이 제작되고 패..

UPS, CVCF, VVVF, 전류형·전압형 인버터, 축전지 설비 구성 요소 - 전기기사 실기 단답 기출 핵심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기사 실기시험 대비 단답형 핵심요약정리, 예비 전원 설비 중 UPS(무정전 전원공급 장치), UPS와 고장 회로를 분리하는 방식, UPS와 CVCF, VVVF 장치에 대한 비교, 전류형 인버터와 전압형 인버터, 축전지 설비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제빈도는 별표(★)로 표시(기출 1회당 별표 1개)하였으며, 기출문제의 답안에 해당하는 내용은 음영 색으로 구분하고, 중요 키워드는 진하게(B) 표기하였습니다. ※ 기출문제 출제빈도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22년까지입니다. ※ 설명 내용에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