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보/중등교육

2022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표본조사) 결과

정/보/나/눔 2023. 7. 17. 23:00

전북교육청(자체 추진)을 제외한 16개 시도교육청이 2022년 9월 19일부터 10월 18일까지 실시한 2022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표본조사) 결과, 학교폭력 피해응답률 1.6%, 가해응답률 1.7%, 목격응답률 4.%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표본조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본 자료는 한국교육개발원이 시·도교육청의 의뢰를 받아 수행한 조사결과이며, 국가승인통계는 아닙니다.

 

 

Ⅰ. 조사 개요

  • 조사목적 :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관련 경험 및 인식 등을 조사, 학교폭력 예방·대응을 위한 대책수립 지원
  • 추진근거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학교폭력예방법) 제11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9조
  • 조사대상 : 초등학교 4학년 ~ 고등학교 2학년 재학생 중 표본 4% (약 15만 명)
  • 조사기간 : 2022년 9월 19일부터 10월 18일까지 4주간
  • 조사방법 : 온라인 및 모바일 조사
  • 조사내용 : 2022년 1학기 시작부터 응답시점인 2022년 10월경까지의 학교폭력 목격·피해·가해 경험 등
  • 시행 : 16개 시·도교육감 (전북교육청 자체 추진)
    ※ 위탁 : 한국교육개발원(개발·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온라인조사 시스템 운영)

 

 

Ⅱ. 피해 응답 현황

▷ 피해응답률

  • 전체 : 피해응답률은 1.6%이며, 직전 조사인 2022년 1차 대비 소폭 감소(0.1%P↓)하였으며, 직전 표본조사인 2021년 2차에 비해서는 증가(0.6%P↑)
  • 학교급 : 초등학교 2.9%, 중학교 1.0%, 고등학교 0.3%로 모든 학교급에서 직전 표본조사(2021년 2차) 대비 증가
학교급별 피해 응답률 추이
피해응답비율 '192 '212 '222
전체(%) 1.2 1.0 1.6
2.1 1.9 2.9
0.8 0.6 1.0
0.3 0.2 0.3
 

 피해유형

  • 전체 : 언어폭력(41.5%), 신체폭력(16.4%), 집단따돌림(12.8%), 사이버폭력(8.4%), 성폭력(5.7%), 강요(5.2%), 금품갈취(5.1%), 스토킹(5.0%) 순
    ※ 2021년 2차 : 언어폭력(42.6%), 신체폭력(13.6%), 집단따돌림(11.5%), 사이버폭력(10.8%), 금품갈취(6.6%), 강요(6.2%), 스토킹(5.0%), 성폭력(3.7%) 순
  • 학교급 : 모든 학교급에서 언어폭력(41.5%), 신체폭력(16.4%), 집단따돌림(12.8%)이 각각 1, 2, 3순위를 차지
학교급별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 추이
구분 언어
폭력
강요 금품
갈취
신체
폭력
성폭력 사이버폭력 스토킹 집단 따돌림
전체(%) 41.5 5.2 5.1 16.4 5.7 8.4 5.0 12.8
(%) 41.6 5.6 5.3 16.1 4.6 8.0 5.5 13.3
(%) 40.6 3.9 4.8 17.0 8.7 9.5 3.6 11.8
(%) 44.6 4.8 2.6 17.7 6.8 8.1 4.1 11.3
  • 사이버폭력 유형 : 사이버 언어폭력(39.8%), 사이버 따돌림(17.0%), 사이버 명예훼손(16.7%), 사이버 강요(6.8%) 등의 순
학교급별 사이버폭력 피해 응답률 추이
피해유형 사이버 언어폭력 사이버 명예훼손 사이버 스토킹 사이버 성폭력 사이버 개인정보 유출 사이버 따돌림 사이버강요 사이버 갈취
전체 39.8 16.7 5.8 4.7 5.7 17.0 6.8 3.5
40.5 16.0 6.0 3.7 5.3 15.1 8.7 4.6
39.2 15.6 5.5 5.9 5.2 23.3 3.7 1.5
33.0 32.1 4.0 11.6 15.2 4.0 0.0 0.0
  • 사이버폭력 발생공간 : 기타를 제외하고, 인스턴트 메신저*(41.1%), SNS**(28.4%), 온라인 게임(17.1%), 1인 미디어 채널(1.9%) 등의 순
    * 인스턴트 메신저 : 카카오톡, 라인, 텔레그램 등
    ** SNS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틱톡, 카카오스토리 등

 

피해 후 경험

  • 피해 후 알림·신고 : 피해사실을 ‘주위에 알리거나 신고’한 비율은 91.4%(미신고 8.6%)로, 이전 표본조사 대비 지속 증가(2019년 2차 81.3% < 2021년 2차 90.5% < 2022년 2차 91.4%)
  • 알리거나 신고한 대상 : 보호자·친척(34.3%), 선생님(29.5%), 친구·선배·후배(15.0%), 학교 상담선생님(5.9%), 학교폭력신고센터(2.4%) 등의 순

 

 

Ⅲ. 목격 응답 현황

 목격응답률

  • 전체 : 목격응답률은 4.5%이며, 직전 조사(2022년 1차) 대비 0.7%P 증가하고 직전 표본조사(2021년 2차) 대비 1.7%P 증가
  • 학교급 : 초등학교 7.2%, 중학교 3.8%, 고등학교 1.2%
학교급별 목격 응답률 추이
목격응답비율 '192 '212 '222
전체(%) 3.4 2.8 4.5
5.1 4.6 7.2
2.8 2.2 3.8
1.4 0.7 1.2

※ 2022년 1차 : 전체 3.8%(초 7.3%, 중 2.9%, 고 0.8%)

 

 목격 후 경험

  • 목격 시 대처 : ‘피해학생을 돕거나 주위에 신고’한 비율은 65.1%,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는 34.2%
조사시점별 목격 시 대처(단위 : %)
구분 피해학생을 위로하고 도와주었다 가해학생을 말렸다 주변 어른들에게 알리거나 신고했다 나도 같이 피해학생을 괴롭혔다 아무 것도 하지 못했다
'222 피해학생을 돕거나 신고 (65.1) 0.7 34.2
31.9 17.1 16.1
'212 피해학생을 돕거나 신고 (66.0) 0.7 33.3
31.6 17.9 16.4
'192 피해학생을 돕거나 신고 (68.8) 1.7 29.5
34.7 19.9 14.2
  • 목격 시 심리 : ‘피해학생에 대한 공감’ 비율은 69.8%(2019년 2차 68.4%, 2021년 2차 72.2%)
조사시점별 목격 시 심리적 경험(단위 : %)
구분 도와줄 수 없어 속상했다 어떻게 해서든 도와주고 싶었다 가해학생에게 화가 났다 나도 당할까봐 무서웠다 피해학생이 방어하지 못하는 게 답답했다 별 생각이 없었다
'222 피해학생에 대한 공감(69.8) 11.8 6.7 11.6
13.1 34.2 22.5
'212 피해학생에 대한 공감(72.2) 11.2 6.1 10.3
13.5 34.4 24.3
'192 피해학생에 대한 공감(68.4) 15.5 9.8 6.3
19.4 27.5 21.5

 

 

Ⅳ. 가해 응답 현황

 가해응답률

  • 전체 : 가해응답률은 1.7%이며, 직전 조사인 2022년 1차 대비 1.1%P 증가하고, 직전 표본조사인 2021년 2차 대비 1.2%P 증가
  • 학교급 : 초등학교 3.4%, 중학교 0.9%, 고등학교 0.1%
학교급별 가해 응답률 추이
가해응답비율 '192 '212 '222
전체(%) 0.6 0.5 1.7
1.2 0.9 3.4
0.5 0.3 0.9
0.1 0.04 0.1

※ 2022년 1차 : 전체 0.6%(초 1.3%, 중 0.3%, 고 0.1%)

 

 가해 이유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없이’(44.5%), ‘피해학생이 먼저 괴롭혀서’(24.9%), ‘피해학생과 오해가 있거나 의견이 달라서’(10.3%), ‘피해학생의 행동이 마음에 안 들어서’(7.7%) 등의 순

 

 가해 중단 이유

‘나쁜 것임을 알게 되어서’(35.3%), ‘선생님과 면담 후’(15.4%),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받은 후’(15.1%), ‘화해하고 친해져서’(13.9%), ‘피해학생이 싫다고 해서’(9.7%) 등의 순

  • 모든 학교급에서 ‘나쁜 것임을 알게 되어서’의 비율이 가장 높음(초 36.4%, 중 31.8%, 고 29.0%)
  • 학교급이 낮을수록 ‘학교폭력 예방 교육을 받고 나서’의 응답비율이 높음(초 16.5% > 중 10.9% > 고 3.4%)
가해 중단 이유(단위 : %)
구분 나쁜 것임을 알게 되어서 학교폭력 예방 교육을 받고나서 선생님과 면담하고 나서 나의 보호자가 걱정 하거나 혼내서 피해 학생과 화해하고 친해져서 피해 학생이 싫다고 해서 친구나 선·후배들이 말려서 경찰에 신고되어 조사를 받아서
전체 35.3 15.1 15.4 7.8 13.9 9.7 1.5 1.3
36.4 16.5 14.8 7.6 13.4 8.8 1.4 1.2
31.8 10.9 17.1 8.7 16.0 12.3 1.8 1.4
29.0 3.4 25.3 5.5 14.2 20.8 0.0 1.9
 

 

Ⅴ.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중요성

효과적인 예방활동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방법 교육’(29.5%), ‘학교 안과 밖에 CCTV 설치’(21.2%), ‘인성교육, 스포츠 활동, 문화예술활동 등 다양한 체험활동’(18.6%) 등의 순

 

효과적인 예방교육 방법

‘공감, 의사소통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활동’(29.1%), ‘학생참여(캠페인, 동아리 등) 활동’(24.5%), ‘수업내용에 포함된 예방교육’(22.1%) 등의 순

 

필요한 예방교육 내용

‘학교폭력 피해를 당했을 때 대처방법’(27.5%), ‘피해학생을 도와주는 방법’(21.9%), ‘가해자를 말리는 방법’(18.4%) 등의 순

 

 

2022년-2차-학교폭력-실태조사(표본조사)-주요-결과.hwp
0.07MB

 


지금까지 2022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알려드렸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교육부 누리집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본 포스팅은 교육부 보도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2022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표본조사) 결과, 2023. 7. 17.)